s길

[스크랩] 인생 별곡 (人生 別曲)**** 맑고 고요한 글

이슬 (새벽이슬, 이슬의꿈,이슬과길) 2011. 4. 5. 17:03

인생 별곡 (人生 別曲)**** 맑고 고요한 글

//

 

 

인 생 별 곡 (人 生 別 曲 )♣*



**♣ 인 생 별 곡 (人 生 別 曲 )♣**
마 음 ( 心 )
마음은 잔잔한 호수에 
물결이 이는 것과 같아 ,
바람이 불면 요동 하지만 
바람이 멈추면 이내 고요하다 ,
무엇이 바람이 일게 했을까
 육신은 있으나 뼈속을 볼 수 없으니 
호숫가 깊이를 모르는건 차마
 들어 갈 엄두를 내지 못 함이었으리라  
 
▣ 생 각 ( 思 ) 
생각은 수양버들 가지와 같아 
늘어진들 그 가닥 수를 헤일 수 없는 것과 같다 
하나를 취하면 둘이 찾아옴을 모르고 ,  
한곳에 뭉친들 하늘에 치솟음을 모르니 
 그 가지에 푸르름만 생각하면 
 결국 기둥을 감추니라 
 흙속에는 돌도 많지만 그 돌 중에  
수석이 있음을 알아야 함이다 

 ▣ 공 ( 空 ) 
하늘에 구름은 있으나 
철새는 날아들지 않았다 생각한다 , 
 내 앞 저 나무가지에 앉은 건 까치새 일 뿐 , 
 철새가 아니라 함은 허공에 배회하는 새가 정해졌다 
생각하는 것과 같다 . 
비웠음은 곧 존재함을 말하니 
내 발아래 밟혀있는 大地는 무엇이란 말인가 ? 
 사람들이 재잘데는 소리에 묻히면 바람소리도 
제대로 듣기 어려움을 알아야 할 것이다  
  
▣ 선 ( 禪 ) 
학은 한발로 선다 ,
 한쪽 발이 없어서가 아니다 
 번뇌 (煩惱)를 끊고 진리를 찾아 
선을 생각하는건 
 두발이 아님을 알아야 하고 
한쪽다리는 곧 삶을 지향함이요 
 
들려있는 다리는 무아(無我) 라
 일체의 존재는 다 무상(無常) 한것이니
 나라는 생각을 갖지 않음은 적정 (靜寂)이라
 고요하며 쓸쓸함이니 이둘이 합이되니
 무아적정 (無我靜寂) 임이라 
학의 임종이 온다면 그 울음은 삶과 죽음 
그 갈림길에서 한줄기 맥을 갖는
 울음소리의 좌선( 坐禪) 과 같음이다 
 
▣ 인 ( 仁 ) 
혼자서 세상을 살아갈 수 없으며,
 혼자서 성인(聖人)이 될 수 없다 
 
둘이 하나되어 서로를 보게됨은
 서로에 대한 믿음과 신뢰라
나을 어질게 하는 마음은 
곧 길을 가는 나그네를 보는것과 같다 
사람이 사람이 되려면 사람이 
사랑으로 대할 줄 알아야 한다 
 
무엇이든 과하면 탈이오듯, 남을 대함은 
언제나 사람으로 하여금 과하게 함이니 , 
무엇을 보려는가  
 
▣ 향 ( 香 ) 
사람과 자연의 꽃 망울은 꽃을 피운다 
꽃을 먹는다 함은 곧 향기를 먹는다 함이며
그 빛깔 또한 먹는것이다 
 저 은하수 를 헤엄치듯 마음속을 헤엄쳐서 
찬란한 별들이 꽃이 되어 
어울어진 저 편 언덕을 보라 
 
내가 쌓아 놓은 곶간 그 마음 속 
꽃밭이 된다는 것을 알면 놀라워 할 것이다   

▣ 삶 ( 生 ) 
우리가 진실로 겸손 할 수 있다는 것은 
정말로 위대한 일이다 
아무리 말썽을 저질러 온 아이도
 천사가 아닌 인간임을 알아야 하고
  아무리 힘들고 고난이 찾아 들지라도 
흥겹게 살아야 함이다 . 
 
어찌보면 이 세상의 삶은 
사물놀이와 같을 수 있다 
삶은 건강한 몸과 마음만으로
 다져지는 것이 아니란 것을 알기 전에는 
참다운 삶을 알기 어려움이다
메모 :